Navigation bar에 표시할 글자 보관 변수
- (void)viewDidLoad {
[super viewDidLoad];
self.title = @"MemoPad";
}
위 밑줄친 부분이 그거 설정 하는 것이다
위치 규칙?
[Receiver Message];
Receiver은 객체, Message는 객체의 메소드를 의미
Receiver은 객체, Message는 객체의 메소드를 의미
[Receiver Message:23];
객체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메소드에 인자를 넘겨주는 형식
Rectangle *anObject = nil;
[anObject description];
nil 값을 가지는 anObject 인스턴스의 description 메소드를 호출한다
클래스
변수에 더하여 변수를 이용하는 메소드(함수)까지 포함하는 것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말하는 클래스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객체는 바로 이클래스를 가르키는것이다.(넓게보면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변수, 즉 인스턴스까지 포함된다)
클래스에 메소드가 포함된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
변수만을 모아놓은 클래스는 데이터 저장공간 이상의 의미를 가질수 없다.
하지만 메소드의 추가로 클래스는 데이터 저장 공간을 거느린 기능 수행 단위가 된다.
절차식 프로그래밍에서는 메소드가 어디에서나 호출할수 있는 전역적이지만
객체지향에서는 메소드가 클래스 내부로 이동하면서 지역적으로
인스턴스 : 클래스로 부터 생성된 변수
nil
다른 프로그래밍의 null로 0을 뜻함
데이터 타입
id : 기본 데이터 타입
BOOL : yes 또는 no
.h 와 .m
header 파일은
내가 앞으로 사용할 함수가 어떤 것인지 미리 선언을 해주는 것이다.
#import <UIKit/UIKit.h>
import의 의미는 정의된 함수들을 프로그램에서 활용하겠다는 의미
@property 와 @synthesize
1. 먼저 객체가 특정 타입의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다고 선언한다.
2. 그 다음, 컴파일러에게 이 정보를 구현(또는 종합synthesize)하라고 지시한다.
▽좀더
1. @property 지시자는 객체가 특정 타입의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다고 선언한다.
2. @synthesize 지시자는 @property 지시자에서 선언한 방법대로 구현한다라고 알려준다.
나; @synthesize는 @property의 꼬봉
NSAutoreleasePoold은 메모리 관리를 자동으로
메모리를 한없이 사용할수 없으니깐
전에 썻던 지금은 필요없는 메모리를 지워야한다.
그런 메모리를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NSAutoreleasePoold
0 댓글